■ 전시 정보
▪ 전시 제목: 눈, 바람, 고요 Eyes, Wind, Stillness
▪ 참여 작가: 안소희 Sohee Ahn
▪ 전시 기간: 2022년 12월 14일(수) ~ 2023년 1월 8일(일)
* 12.22(목) 휴무
* 12.25 크리스마스, 12.27(화), 1/1(일) 정상 운영
▪ 별도의 오프닝 행사는 없습니다.
▪ 운영 시간- 수~일요일 13:00~18:30/ 월, 화요일 휴무
▪ 전시 장소: 페이지룸8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11길 73-10 1층 상가)
▪ 전시 장르 및 규모: 유화, 드로잉 20여 점
▪ 전시 기획: 박정원 페이지룸8 디렉터
▪ 기타 행사: 서울디자인페스티벌- 드로잉 어텐션/ 12.20-12.23/ 코엑스C홀/ 참여작가: 안소희, 문정/ 페이지룸8 CG101
▪ 문의: 전화) 02-732-3088, pageroom8@naver.com
■ 전시 소개
페이지룸8은 제주에서 나고 자라 활동하고 있는 안소희 작가의 개인전 《눈, 바람, 고요》를 서울에서 처음으로 개최한다. 2022년 마감과 2023년 시작에 걸쳐 열리는 이 전시는 인간 내면의 고요와 동요를 안소희 작가만의 ‘눈’을 통해 섬세하게 선보인다.
작품 속 크고 깊은 인물의 ‘눈’은 작가 특유의 감성과 필치가 깃들어 있다. 보는 것을 넘어 들여다보게 만드는 작가만의 눈은 인간에 대한 연민과 생(生)의 찬미, 애환 등을 드러내는 창구이다. 안소희 작가는 일상 속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어떤 단상을 인물의 표정과 상징적인 형상을 배경으로 표현한다. 그 과정에서 작가가 집중해서 그리는 ‘눈’은 어떤 대상을 주시하기 보다는 끊임없이 담아내고 비어내는 어떤 상태의 ‘눈’이다. 그리고 ‘머리카락’은 신체 부위이자 인물과 배경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대지이자 풍경의 소재가 된다. 물렁한 사과, 식물, 새 등 작가가 화면에 등장시키는 소재들은 미처 표면화되지 않은 내면을 엿볼 수 있는 알레고리로서 존재한다.
안소희 작가의 색연필 드로잉은 아련한 기억 속 파노라마와 제주를 삶의 터전으로 삼은 작가의 정서를 잘 반영한다. 이 드로잉 중 일부를 캔버스에 유화로 그리는데, 드로잉을 재현하는 방식이 아닌 유화에서 표현할 수 있는 또 다른 분위기를 파생시킨다. 이번 전시에서 ‘눈’을 전면으로 드러내는 유화와 수채화로 완성한 인물 작업과 선을 길게 이어 붙여 수행하듯 그린 수채화 풍경 시리즈를 선보인다.
■ 전시 서문
안소희 개인전: 눈, 바람, 고요, 2022.12.14.~2023.1.8. 페이지룸8
- 담아내고 비워내는 ‘눈’ -
글 박정원(페이지룸8 디렉터)
눈은 자신의 기분이나 감정을 알 수 있는 개인의 표지이자 세상 모든 것들을 투영할 수도 있는 창이다. 그러기에 한 인간이 지닌 신체 기관인 동시에 거대한 우주이기도 한 ‘눈’을 바라본다는 것은 특별한 일이다. 안소희 작가의 개인전 《눈, 바람, 고요(Eyes, Wind, Stillness)》(페이지룸8, 2022.12.14.-2023.1.8.)은 작품 속 인물의 ‘눈’에 주목한다. 이 눈은 단순한 눈이라고 여기기에는 한번 보면 뇌리에 남아 잊히기가 힘들다. 형이상학의 세계로 들어가는 창구라는 관념적인 표현을 쓰기에는 더욱 부족한 느낌이 든다. 그래서 안소희 작가의 ‘눈’에 대해 계속 생각하게 된다.
이번 안소희 작가의 회화는 큰 눈이 특징인 인물화와 바람, 동·식물, 과일 등의 소재가 인물과 함께 등장하여 분위기가 조성되는 작품으로 구분된다. 안소희 작가의 눈은 1인칭 시점에서 어떤 대상이나 사물을 주시하는 눈일 수도 있지만, 이 눈을 바라보는 상대의 심리적인 자극과 내면의 감정을 이끌어내는 눈에 가깝다. 그렇다고 해서 인물의 눈빛이나 표정에서 어떤 호소력을 느끼기는 어렵다. 그저 커다랗게 텅 비어있는 듯한 눈은 역설적으로 무엇이든 담아낼 수 있다. 그래서 인물의 눈에서 시작되는 궁금증은 연쇄반응을 일으키기 시작한다.
드러나면 금세 알아차리기 쉬운 눈의 표정은 식물이 담긴 유리 화병에 가려보아도 굴절되어 더 크게 ‘응시’하듯 보일 뿐이다.[작품 <응시>] 고정되지 않은 시선에 ‘물렁한 사과’를 쥔 손은 애꿎은 사과에 대한 감정 표현인지 사과와 함께 무른 시간을 보낸 건지는 알 수 없다.[작품 <물렁한 사과>] 목이 드러난 니트를 입은 인물은 ‘땋은 머리’를 목에 두른 채 묘한 분위기를 자아낸다.[작품 <Braid Hair>] 이렇게 눈에서 표정을 읽으려는 노력은 결국 무력화되며 보는 이들의 감정이 인물에 적극적으로 이입되고 만다. 반면, 바람에 납작한 머릿 묶음이 날리는 인물의 눈은 이미 가을 풍경 자체로 보이기도 하고[작품 <Autumn Wind>], 파랑새의 작은 터치에 번지듯 물든 하늘색 머리카락은 졸음을 귀엽게 쫓아주는 요정 같다.[작품 <Boy in the Morning>]
작업 방식에 있어서 캔버스 작품과 색연필 드로잉은 선후 관계를 떠나 비슷한 형태로 스케치하되, 유화와 색연필 특유의 질감과 필치를 살려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번 전시에서 처음 선보이는 ‘막연한 풍경(Wave)’ 수채화 시리즈는 한 번의 붓질로 가지런히 선을 쌓아 추상적인 풍경을 완성함으로써 수행적 개념의 드로잉이다. 작품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머릿결 같은 억새밭 풍경 또한 인물을 지지하고 있는 대지로서 존재하는데, 제주를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는 작가의 환경을 떠올리게 된다. 단, 이 모든 조화는 결국 장소성과 시간성 그리고 원근감 등을 특정 지을 수 없고, 무엇보다 인물의 큰 눈으로 인해 초현실적인 상황과 상상력을 발휘하게 한다.
작품 속 인물은 어쩐지 처연해 보이기도 하지만 커다란 눈을 통해 살아있음을 생생히 증명함으로써 보는 이들의 내면에 있는 고독이라는 연대를 슬며시 꺼내게 한다. 그렇게 안소희 작가의 ‘눈’은 끊임없이 담아내고 비워내며, 마주하는 모든 생(生)을 고요한 가운데 증언하고 있다.■
p.s.
안소희 작가의 작품은 처음 보게 된 건 2021년 7월, 제주 새탕라움에서 열린 작가의 개인전 《계단의 아이》에서였다. 주택의 방 구조와 나무 계단이 남아있는 무인 전시 공간에 우연히 마주한 작품 속 아우라에 한참을 전시장에 머물렀다. 당시 머리카락 같은 카펫?에 억새같은 머릿결을 휘날리며 걷는 뒷모습이 있는 작품, 〈걸음(Walk)〉에 매료되어 2층으로 올라가니 보송보송한 억새밭이 펼쳐진다. 작가의 자화상으로 추정되는 인물의 눈이 독특했던 〈탈색〉 작품 앞에서 잠시 걸음을 멈췄다가, 가감 없이 솔직하게 표현한 부부 드로잉에 웃음이 터진 채 전시장을 나왔다. 서울에 도착해서 등을 톡톡 치며 아는 척하고 싶게 만든 〈걸음〉의 뒷모습과 큰 눈망울을 지녔지만 정확히 어떤 감정선인지 읽을 수 없었던 〈탈색〉 인물이 교차되어 문득문득 그리고 자주 생각이 났다. 그래서 제주에 있는 작가님에게 결국 DM을 보냈다.
Sohee Ahn Solo Exhibition: Eyes, Wind, Stillness, 12.14. 2022-1.8. 2023. Pageroom8
Written by Jungwon Park (Director of Pageroom8)
An eye is a front cover of an individual indicating their mood or feelings, as well as a window that can reflect everything in the world. Thus, it is a unique experience to look into an ‘eye’, as it is not only a bodily organ of a person but also a vast universe. Sohee Ahn’s solo exhibition, 《Eyes, Wind, Stillness》(Pageroom8, 12.14. 2022-1.8. 2023.), focuses on the ‘eyes’ of the figures in her work. These ‘eyes’ are too unforgettable to be regarded as mere eyes. It feels even more inadequate to use abstract expressions like ‘they are the window to the metaphysical world’. That is why we can’t help but keep thinking about the ‘eyes’ depicted by Sohee Ahn.
Sohee Ahn’s paintings in this exhibition fall into two divisions: those with human figures characterized by big eyes and those setting the scene using human figures along with animals, plants, and fruits. Though the eyes of Sohee Ahn may seem to be observing a person or an object from the first-person perspective, they are designed to give psychological stimuli to the viewers looking into the eyes and arouse inner feelings in them. However, it is not the case that the figures’ looks or facial expressions have a powerful appeal. The eyes are big and empty, which ironically allows them to be a vessel for anything. So, the curiosity sparked by the figure’s eyes triggers a chain reaction.
The expression of an eye that can be easily read when unmasked is refracted when occluded by a glass vase with plants, which only makes the stare look even more wide-eyed [<Gaze>]. It is unclear whether unfocused eyes and a hand holding a ‘soft apple’ portray the expression of emotions towards the guiltless apple or show that they have spent soft time with the soft apple [<A Soft Apple>]. A figure wearing a knitted sweater that exposes her neck exudes a peculiar atmosphere with ‘braid hair’ wrapped around their bare neck []. The paintings neutralize the viewers’ effort to read facial cues in the depicted eyes, which causes them to actively project their own emotions onto the figures. On the other hand, the eyes of a figure with flat, tied hair flying in the wind already look as if they are the autumn landscape itself []. Hair dyed blue by a delicate touch of a bluebird takes after that of a fairy that sweetly drives drowsiness away [].
As for art techniques, canvas paintings and colored pencil drawings are sketched in similar forms regardless of the order of procedures. They are distinguished but intimately connected, as they demonstrate the unique textures and strokes of oil paint and colored pencils respectively. ‘Wave’, a series of watercolors first introduced in this exhibition, is a performative drawing that portrays an abstract landscape with a stroke of paint neatly stacked. The scenery of a silver grass field that resembles hair texture appears throughout the series as a stage for a figure, reflecting the surroundings of the artist who made her home in Jeju. But the harmony of the landscapes cannot be characterized by spatiality, temporality, or perspective. The big eyes of the figures create a surrealistic atmosphere and arouse viewers’ curiosity.
The figures in Sohee Ahn’s works may strike viewers as sorrowful. However, their big eyes vividly show their aliveness; it gently brings out a sense of solidarity in viewers regarding their loneliness. The ‘eyes’ of Sohee Ahn constantly fill and empty themselves, testifying for all lives while remaining silent.
P.S.
I first saw the work of Sohee Ahn in July of 2021, at her solo exhibition 《A Girl on the Staircase》held in Saetangnaum, Jeju. I stumbled upon her work in an unmanned exhibition hall, where the structure and wooden staircase of the original house were preserved, and the aura of her art kept me there for a long time. I was first mesmerized by , a portrayal of a back of a person walking on a hair-like carpet with her grass-like hair billowing out. It led me upstairs and a wide field of fluffy sliver grass welcomed me. I paused in front of , which depicted a figure with distinctive eyes whom I presumed to be the artist herself, and I laughed at an honest, straightforward drawing of a couple before leaving the exhibition. After arriving in Seoul, the image of the back of the figure from whom I wanted to tap and acknowledge mingled with that of the unreadable face with big eyes from kept coming back to my mind suddenly and frequently. I ended up sending a DM to the artist in Jeju.
■ 작품 이미지
안소희 Sohee Ahn, <Autumn Wind>,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90.9 x 72.7 cm(30F)
안소희 Sohee Ahn, <Innocent Gaze>,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116.8 x 91.0 cm(50F), 2022
안소희 Sohee Ahn, <물렁한 사과 A Soft Apple>,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100.0 x 65.1 cm (40M), 2022
안소희 Sohee Ahn, <Braid Hair>,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72.7 x 53.0 cm (20P), 2022
안소희 Sohee Ahn, <Vitality>,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60.6 x 60.6 cm (20S), 2022
안소희 Sohee Ahn, <응시 Gaze>,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72.7 x 60.6 cm (20F), 2022
안소희 Sohee Ahn, <Boy in the Morning>,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90.9 x 65.1 cm (30P), 2022
안소희 Sohee Ahn, <Wave Hair>,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65.1 x 30.0 cm (15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2 Wave 2>,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80.3 x 130.3 cm (60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1 Wave 1>,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60.6 x 80.3 cm (25P), 2022
안소희 Sohee Ahn, <걸음 Walk>,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65.1 x 65.1 cm (25S), 2022
안소희 Sohee Ahn, <피아노가 있는 방 Room with Piano>, 종이에 색연필 Color pencil on paper, 30.5 x 30.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Moist Eyes>, 종이에 색연필 Color pencil on paper, 32.0 x 27.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Knitted Socks>, 종이에 색연필 Color pencil on paper, 30.0 x 31.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창문의 여자 Woman in Window>, 종이에 색연필 Color pencil on paper, 38.0 x 31.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물렁한 사과 A Soft Apple>, 종이에 수채, 색연필 Water color and color pencil on Paper, 38.7 x 31.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Sprout>, 종이에 수채, 색연필 Water color and color pencil on Paper, 38.7 x 31.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 드로잉 04 Wave-drawing 04>, 종이에 수채 Water color on paper, 22.0 x 28.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 드로잉 01 Wave-drawing 01>, 종이에 수채 Water color on paper, 22.0 x 26.8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 드로잉 02 Wave-drawing 02>, 종이에 수채 Water color on paper, 22.0 x 26.8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 드로잉 03 Wave-drawing 03>, 종이에 수채 Water color on paper, 22.0 x 22.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 드로잉 06 Wave-drawing 06>, 종이에 수채 Water color on paper, 27.0 x 22.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 드로잉 05 Wave-drawing 05>, 종이에 수채 Water color on paper, 26.8 x 22.0 cm, 2022
■ 전시 전경 (사진_양이언)
■ 작가 약력
안소희 Sohee Ahn (1983~)
soheeahn.com
2008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졸업
개인전
2022 《눈, 바람, 고요》, 페이지룸8, 서울
2022 《Browless》, 미들맨갤러리, 부산
2021 《계단의 아이》, 새탕라움, 제주
2018 《안소희 소품전》, 캔북스, 제주
2015 《새벽 네시》, 갤러리노리, 제주
2013 《제주 우수 청년작가 초청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2010 《낯설거나 혹은 낯익거나》, 이중섭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제주
단체전
2022 《꽃》, 캔북스, 제주
2022《아트페스타 인 제주》, 제주
2021 《빵빵빵빵빵》, 캔북스, 제주
2020 《나를 찾다》, 이중섭미술관, 제주
2019 《제주작가 특별 후원전: 블라 블라! 일상의 소리》, 메종글래드 제주
2018 《치앙마이가 제주에 옵니다》, 거인의 정원, 제주
2018《소장의 기쁨전》, HAO옥션, 제주, 서울
2018《또 하나의 가족, 개와 게》, 이중섭미술관, 제주
2017 《얼굴이나 보자》, 갤러리 18번가, 제주
2017《서귀포시 교육발전 기금마련전- 그대 있어 행복한 세상》, 기당 미술관, 제주
2016 《제4회 국제전기자동차 엑스포 기념 특별전- 무위자연, 스스로 그러하다》, 서귀포예술의전당, 제주
2015 《청춘을 달리다》,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5《소울잉크 기획전》, 서울
2015《말》, 갤러리노리, 제주
2014 《소울잉크 기획전》, 서울
2014《말》, 갤러리노리, 제주
2014《제주 우수청년작가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2013 《제주 우수청년작가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2012 《KBS 제주 청년작가 기획전- 섬의 무게, 풍토의 시간》,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갤러리, 제주
2012《제주 우수청년작가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2011 《낮술±6전- 아이엠그라운드 자기소개하기》, 갤러리 요기가, 서울
2011《이중섭미술관 청년작가 5인전- 길 위의 희망》, 이중섭미술관, 제주
2011《이중섭미술관 신년 기획전- 달나라에서 누가 왔을까》, 이중섭미술관, 제주
2011《제주 우수청년작가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2009 《제주도립미술관 개관 기념전》,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08 《제주 우수청년작가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아트페어
2022 《아트제주 특별전》, 롯데호텔 제주 컨벤션, 제주
2022《더프리뷰 성수 with 신한카드》, 에스팩토리, 서울
2022《아트부산》, 벡스코, 부산
■ 전시 정보
▪ 전시 제목: 눈, 바람, 고요 Eyes, Wind, Stillness
▪ 참여 작가: 안소희 Sohee Ahn
▪ 전시 기간: 2022년 12월 14일(수) ~ 2023년 1월 8일(일)
* 12.22(목) 휴무
* 12.25 크리스마스, 12.27(화), 1/1(일) 정상 운영
▪ 별도의 오프닝 행사는 없습니다.
▪ 운영 시간- 수~일요일 13:00~18:30/ 월, 화요일 휴무
▪ 전시 장소: 페이지룸8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11길 73-10 1층 상가)
▪ 전시 장르 및 규모: 유화, 드로잉 20여 점
▪ 전시 기획: 박정원 페이지룸8 디렉터
▪ 기타 행사: 서울디자인페스티벌- 드로잉 어텐션/ 12.20-12.23/ 코엑스C홀/ 참여작가: 안소희, 문정/ 페이지룸8 CG101
▪ 문의: 전화) 02-732-3088, pageroom8@naver.com
■ 전시 소개
페이지룸8은 제주에서 나고 자라 활동하고 있는 안소희 작가의 개인전 《눈, 바람, 고요》를 서울에서 처음으로 개최한다. 2022년 마감과 2023년 시작에 걸쳐 열리는 이 전시는 인간 내면의 고요와 동요를 안소희 작가만의 ‘눈’을 통해 섬세하게 선보인다.
작품 속 크고 깊은 인물의 ‘눈’은 작가 특유의 감성과 필치가 깃들어 있다. 보는 것을 넘어 들여다보게 만드는 작가만의 눈은 인간에 대한 연민과 생(生)의 찬미, 애환 등을 드러내는 창구이다. 안소희 작가는 일상 속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어떤 단상을 인물의 표정과 상징적인 형상을 배경으로 표현한다. 그 과정에서 작가가 집중해서 그리는 ‘눈’은 어떤 대상을 주시하기 보다는 끊임없이 담아내고 비어내는 어떤 상태의 ‘눈’이다. 그리고 ‘머리카락’은 신체 부위이자 인물과 배경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대지이자 풍경의 소재가 된다. 물렁한 사과, 식물, 새 등 작가가 화면에 등장시키는 소재들은 미처 표면화되지 않은 내면을 엿볼 수 있는 알레고리로서 존재한다.
안소희 작가의 색연필 드로잉은 아련한 기억 속 파노라마와 제주를 삶의 터전으로 삼은 작가의 정서를 잘 반영한다. 이 드로잉 중 일부를 캔버스에 유화로 그리는데, 드로잉을 재현하는 방식이 아닌 유화에서 표현할 수 있는 또 다른 분위기를 파생시킨다. 이번 전시에서 ‘눈’을 전면으로 드러내는 유화와 수채화로 완성한 인물 작업과 선을 길게 이어 붙여 수행하듯 그린 수채화 풍경 시리즈를 선보인다.
■ 전시 서문
안소희 개인전: 눈, 바람, 고요, 2022.12.14.~2023.1.8. 페이지룸8
- 담아내고 비워내는 ‘눈’ -
글 박정원(페이지룸8 디렉터)
눈은 자신의 기분이나 감정을 알 수 있는 개인의 표지이자 세상 모든 것들을 투영할 수도 있는 창이다. 그러기에 한 인간이 지닌 신체 기관인 동시에 거대한 우주이기도 한 ‘눈’을 바라본다는 것은 특별한 일이다. 안소희 작가의 개인전 《눈, 바람, 고요(Eyes, Wind, Stillness)》(페이지룸8, 2022.12.14.-2023.1.8.)은 작품 속 인물의 ‘눈’에 주목한다. 이 눈은 단순한 눈이라고 여기기에는 한번 보면 뇌리에 남아 잊히기가 힘들다. 형이상학의 세계로 들어가는 창구라는 관념적인 표현을 쓰기에는 더욱 부족한 느낌이 든다. 그래서 안소희 작가의 ‘눈’에 대해 계속 생각하게 된다.
이번 안소희 작가의 회화는 큰 눈이 특징인 인물화와 바람, 동·식물, 과일 등의 소재가 인물과 함께 등장하여 분위기가 조성되는 작품으로 구분된다. 안소희 작가의 눈은 1인칭 시점에서 어떤 대상이나 사물을 주시하는 눈일 수도 있지만, 이 눈을 바라보는 상대의 심리적인 자극과 내면의 감정을 이끌어내는 눈에 가깝다. 그렇다고 해서 인물의 눈빛이나 표정에서 어떤 호소력을 느끼기는 어렵다. 그저 커다랗게 텅 비어있는 듯한 눈은 역설적으로 무엇이든 담아낼 수 있다. 그래서 인물의 눈에서 시작되는 궁금증은 연쇄반응을 일으키기 시작한다.
드러나면 금세 알아차리기 쉬운 눈의 표정은 식물이 담긴 유리 화병에 가려보아도 굴절되어 더 크게 ‘응시’하듯 보일 뿐이다.[작품 <응시>] 고정되지 않은 시선에 ‘물렁한 사과’를 쥔 손은 애꿎은 사과에 대한 감정 표현인지 사과와 함께 무른 시간을 보낸 건지는 알 수 없다.[작품 <물렁한 사과>] 목이 드러난 니트를 입은 인물은 ‘땋은 머리’를 목에 두른 채 묘한 분위기를 자아낸다.[작품 <Braid Hair>] 이렇게 눈에서 표정을 읽으려는 노력은 결국 무력화되며 보는 이들의 감정이 인물에 적극적으로 이입되고 만다. 반면, 바람에 납작한 머릿 묶음이 날리는 인물의 눈은 이미 가을 풍경 자체로 보이기도 하고[작품 <Autumn Wind>], 파랑새의 작은 터치에 번지듯 물든 하늘색 머리카락은 졸음을 귀엽게 쫓아주는 요정 같다.[작품 <Boy in the Morning>]
작업 방식에 있어서 캔버스 작품과 색연필 드로잉은 선후 관계를 떠나 비슷한 형태로 스케치하되, 유화와 색연필 특유의 질감과 필치를 살려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번 전시에서 처음 선보이는 ‘막연한 풍경(Wave)’ 수채화 시리즈는 한 번의 붓질로 가지런히 선을 쌓아 추상적인 풍경을 완성함으로써 수행적 개념의 드로잉이다. 작품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머릿결 같은 억새밭 풍경 또한 인물을 지지하고 있는 대지로서 존재하는데, 제주를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는 작가의 환경을 떠올리게 된다. 단, 이 모든 조화는 결국 장소성과 시간성 그리고 원근감 등을 특정 지을 수 없고, 무엇보다 인물의 큰 눈으로 인해 초현실적인 상황과 상상력을 발휘하게 한다.
작품 속 인물은 어쩐지 처연해 보이기도 하지만 커다란 눈을 통해 살아있음을 생생히 증명함으로써 보는 이들의 내면에 있는 고독이라는 연대를 슬며시 꺼내게 한다. 그렇게 안소희 작가의 ‘눈’은 끊임없이 담아내고 비워내며, 마주하는 모든 생(生)을 고요한 가운데 증언하고 있다.■
p.s.
안소희 작가의 작품은 처음 보게 된 건 2021년 7월, 제주 새탕라움에서 열린 작가의 개인전 《계단의 아이》에서였다. 주택의 방 구조와 나무 계단이 남아있는 무인 전시 공간에 우연히 마주한 작품 속 아우라에 한참을 전시장에 머물렀다. 당시 머리카락 같은 카펫?에 억새같은 머릿결을 휘날리며 걷는 뒷모습이 있는 작품, 〈걸음(Walk)〉에 매료되어 2층으로 올라가니 보송보송한 억새밭이 펼쳐진다. 작가의 자화상으로 추정되는 인물의 눈이 독특했던 〈탈색〉 작품 앞에서 잠시 걸음을 멈췄다가, 가감 없이 솔직하게 표현한 부부 드로잉에 웃음이 터진 채 전시장을 나왔다. 서울에 도착해서 등을 톡톡 치며 아는 척하고 싶게 만든 〈걸음〉의 뒷모습과 큰 눈망울을 지녔지만 정확히 어떤 감정선인지 읽을 수 없었던 〈탈색〉 인물이 교차되어 문득문득 그리고 자주 생각이 났다. 그래서 제주에 있는 작가님에게 결국 DM을 보냈다.
Sohee Ahn Solo Exhibition: Eyes, Wind, Stillness, 12.14. 2022-1.8. 2023. Pageroom8
Written by Jungwon Park (Director of Pageroom8)
An eye is a front cover of an individual indicating their mood or feelings, as well as a window that can reflect everything in the world. Thus, it is a unique experience to look into an ‘eye’, as it is not only a bodily organ of a person but also a vast universe. Sohee Ahn’s solo exhibition, 《Eyes, Wind, Stillness》(Pageroom8, 12.14. 2022-1.8. 2023.), focuses on the ‘eyes’ of the figures in her work. These ‘eyes’ are too unforgettable to be regarded as mere eyes. It feels even more inadequate to use abstract expressions like ‘they are the window to the metaphysical world’. That is why we can’t help but keep thinking about the ‘eyes’ depicted by Sohee Ahn.
Sohee Ahn’s paintings in this exhibition fall into two divisions: those with human figures characterized by big eyes and those setting the scene using human figures along with animals, plants, and fruits. Though the eyes of Sohee Ahn may seem to be observing a person or an object from the first-person perspective, they are designed to give psychological stimuli to the viewers looking into the eyes and arouse inner feelings in them. However, it is not the case that the figures’ looks or facial expressions have a powerful appeal. The eyes are big and empty, which ironically allows them to be a vessel for anything. So, the curiosity sparked by the figure’s eyes triggers a chain reaction.
The expression of an eye that can be easily read when unmasked is refracted when occluded by a glass vase with plants, which only makes the stare look even more wide-eyed [<Gaze>]. It is unclear whether unfocused eyes and a hand holding a ‘soft apple’ portray the expression of emotions towards the guiltless apple or show that they have spent soft time with the soft apple [<A Soft Apple>]. A figure wearing a knitted sweater that exposes her neck exudes a peculiar atmosphere with ‘braid hair’ wrapped around their bare neck []. The paintings neutralize the viewers’ effort to read facial cues in the depicted eyes, which causes them to actively project their own emotions onto the figures. On the other hand, the eyes of a figure with flat, tied hair flying in the wind already look as if they are the autumn landscape itself []. Hair dyed blue by a delicate touch of a bluebird takes after that of a fairy that sweetly drives drowsiness away [].
As for art techniques, canvas paintings and colored pencil drawings are sketched in similar forms regardless of the order of procedures. They are distinguished but intimately connected, as they demonstrate the unique textures and strokes of oil paint and colored pencils respectively. ‘Wave’, a series of watercolors first introduced in this exhibition, is a performative drawing that portrays an abstract landscape with a stroke of paint neatly stacked. The scenery of a silver grass field that resembles hair texture appears throughout the series as a stage for a figure, reflecting the surroundings of the artist who made her home in Jeju. But the harmony of the landscapes cannot be characterized by spatiality, temporality, or perspective. The big eyes of the figures create a surrealistic atmosphere and arouse viewers’ curiosity.
The figures in Sohee Ahn’s works may strike viewers as sorrowful. However, their big eyes vividly show their aliveness; it gently brings out a sense of solidarity in viewers regarding their loneliness. The ‘eyes’ of Sohee Ahn constantly fill and empty themselves, testifying for all lives while remaining silent.
P.S.
I first saw the work of Sohee Ahn in July of 2021, at her solo exhibition 《A Girl on the Staircase》held in Saetangnaum, Jeju. I stumbled upon her work in an unmanned exhibition hall, where the structure and wooden staircase of the original house were preserved, and the aura of her art kept me there for a long time. I was first mesmerized by , a portrayal of a back of a person walking on a hair-like carpet with her grass-like hair billowing out. It led me upstairs and a wide field of fluffy sliver grass welcomed me. I paused in front of , which depicted a figure with distinctive eyes whom I presumed to be the artist herself, and I laughed at an honest, straightforward drawing of a couple before leaving the exhibition. After arriving in Seoul, the image of the back of the figure from whom I wanted to tap and acknowledge mingled with that of the unreadable face with big eyes from kept coming back to my mind suddenly and frequently. I ended up sending a DM to the artist in Jeju.
■ 작품 이미지
안소희 Sohee Ahn, <Autumn Wind>,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90.9 x 72.7 cm(30F)
안소희 Sohee Ahn, <Innocent Gaze>,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116.8 x 91.0 cm(50F), 2022
안소희 Sohee Ahn, <물렁한 사과 A Soft Apple>,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100.0 x 65.1 cm (40M), 2022
안소희 Sohee Ahn, <Braid Hair>,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72.7 x 53.0 cm (20P), 2022
안소희 Sohee Ahn, <Vitality>,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60.6 x 60.6 cm (20S), 2022
안소희 Sohee Ahn, <응시 Gaze>,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72.7 x 60.6 cm (20F), 2022
안소희 Sohee Ahn, <Boy in the Morning>,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90.9 x 65.1 cm (30P), 2022
안소희 Sohee Ahn, <Wave Hair>,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65.1 x 30.0 cm (15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2 Wave 2>,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80.3 x 130.3 cm (60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1 Wave 1>,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60.6 x 80.3 cm (25P), 2022
안소희 Sohee Ahn, <걸음 Walk>,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65.1 x 65.1 cm (25S), 2022
안소희 Sohee Ahn, <피아노가 있는 방 Room with Piano>, 종이에 색연필 Color pencil on paper, 30.5 x 30.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Moist Eyes>, 종이에 색연필 Color pencil on paper, 32.0 x 27.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Knitted Socks>, 종이에 색연필 Color pencil on paper, 30.0 x 31.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창문의 여자 Woman in Window>, 종이에 색연필 Color pencil on paper, 38.0 x 31.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물렁한 사과 A Soft Apple>, 종이에 수채, 색연필 Water color and color pencil on Paper, 38.7 x 31.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Sprout>, 종이에 수채, 색연필 Water color and color pencil on Paper, 38.7 x 31.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 드로잉 04 Wave-drawing 04>, 종이에 수채 Water color on paper, 22.0 x 28.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 드로잉 01 Wave-drawing 01>, 종이에 수채 Water color on paper, 22.0 x 26.8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 드로잉 02 Wave-drawing 02>, 종이에 수채 Water color on paper, 22.0 x 26.8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 드로잉 03 Wave-drawing 03>, 종이에 수채 Water color on paper, 22.0 x 22.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 드로잉 06 Wave-drawing 06>, 종이에 수채 Water color on paper, 27.0 x 22.0 cm, 2022
안소희 Sohee Ahn, <막연한 풍경 - 드로잉 05 Wave-drawing 05>, 종이에 수채 Water color on paper, 26.8 x 22.0 cm, 2022
■ 전시 전경 (사진_양이언)
■ 작가 약력
안소희 Sohee Ahn (1983~)
soheeahn.com
2008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졸업
개인전
2022 《눈, 바람, 고요》, 페이지룸8, 서울
2022 《Browless》, 미들맨갤러리, 부산
2021 《계단의 아이》, 새탕라움, 제주
2018 《안소희 소품전》, 캔북스, 제주
2015 《새벽 네시》, 갤러리노리, 제주
2013 《제주 우수 청년작가 초청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2010 《낯설거나 혹은 낯익거나》, 이중섭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제주
단체전
2022 《꽃》, 캔북스, 제주
2022《아트페스타 인 제주》, 제주
2021 《빵빵빵빵빵》, 캔북스, 제주
2020 《나를 찾다》, 이중섭미술관, 제주
2019 《제주작가 특별 후원전: 블라 블라! 일상의 소리》, 메종글래드 제주
2018 《치앙마이가 제주에 옵니다》, 거인의 정원, 제주
2018《소장의 기쁨전》, HAO옥션, 제주, 서울
2018《또 하나의 가족, 개와 게》, 이중섭미술관, 제주
2017 《얼굴이나 보자》, 갤러리 18번가, 제주
2017《서귀포시 교육발전 기금마련전- 그대 있어 행복한 세상》, 기당 미술관, 제주
2016 《제4회 국제전기자동차 엑스포 기념 특별전- 무위자연, 스스로 그러하다》, 서귀포예술의전당, 제주
2015 《청춘을 달리다》,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5《소울잉크 기획전》, 서울
2015《말》, 갤러리노리, 제주
2014 《소울잉크 기획전》, 서울
2014《말》, 갤러리노리, 제주
2014《제주 우수청년작가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2013 《제주 우수청년작가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2012 《KBS 제주 청년작가 기획전- 섬의 무게, 풍토의 시간》,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갤러리, 제주
2012《제주 우수청년작가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2011 《낮술±6전- 아이엠그라운드 자기소개하기》, 갤러리 요기가, 서울
2011《이중섭미술관 청년작가 5인전- 길 위의 희망》, 이중섭미술관, 제주
2011《이중섭미술관 신년 기획전- 달나라에서 누가 왔을까》, 이중섭미술관, 제주
2011《제주 우수청년작가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2009 《제주도립미술관 개관 기념전》,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08 《제주 우수청년작가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아트페어
2022 《아트제주 특별전》, 롯데호텔 제주 컨벤션, 제주
2022《더프리뷰 성수 with 신한카드》, 에스팩토리, 서울
2022《아트부산》, 벡스코, 부산